2025년 출산육아기 고용안정장려금 지원자격·유형(육아휴직/근로시간단축/대체인력/업무분담)·신청방법·FAQ(간이 계산기 포함)

2025년 출산육아기 고용안정장려금 지원자격·유형(육아휴직/근로시간단축/대체인력/업무분담)·신청방법·FAQ(간이 계산기 포함)

고용노동부사업주 지원육아휴직 이 글은 2025년 출산육아기 고용안정장려금을 활용해 인력 공백을 관리하려는 사업주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장려금은 육아휴직 지원금,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금, 대체인력 인건비 지원금, 업무분담지원금 등으로 구성되며, 신청은 고용24에서 온라인 접수합니다.

도입

핵심요약
  • 대상: 근로자에게 육아휴직 또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30일 이상 부여한 사업주 등.
  • 대체인력 지원: 대체인력 임금의 최대 80%, 월 120만원 한도 등 기준(연도 지침에 따라 변동).
  • 신청기한: 각 사용 종료일부터 12개월 이내 신청(유형별 동일 원칙).

지원자격·유형별 개요

핵심요약
  • 육아휴직 지원금: 육아휴직을 30일↑ 부여한 사업주.
  •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금: 단축 근로 허용(30일↑).
  • 대체인력 인건비 지원금: 위 사유로 채용·사용한 대체인력 인건비 지원.
  • 업무분담지원금: 기존 인력 내 업무 분담 시 기준 충족하면 지원.

지원내용(핵심 포인트)

핵심요약
  • 대체인력 인건비: 대체인력에게 지급한 임금의 최대 80%, 월 120만원 한도 등(인수인계기간 최대 2개월 포함). 실제 한도는 연도 지침 확인.
  • 육아휴직·근로시간 단축 지원: 허용·유지 실적에 따라 분기/월 단위 지급. 일부 인센티브 및 중복 수급 요건 존재(연도별 상이).
  • 지급 방식: 사용기간 중 50%를 주기 지급, 복귀 후 6개월 계속고용 확인 시 잔여 50% 일괄 지급(유형 공통 원칙).

지원 단가·상한·인센티브는 매년 일부 개편됩니다. 아래 ‘공식 안내문(PDF)’에서 2025년 수치를 반드시 확인하세요.

신청기한·방법(온라인 중심)

핵심요약
  • 기한: 각 사용 종료일부터 12개월 이내 신청.
  • 경로: 고용24 로그인 → 장려금 선택 → 신청서 작성·증빙 업로드.
  • 처리: 통상 14일 내 외(센터별 상이). 부지급 사유 방지를 위해 증빙 정합성 필수.
  1. 사내 인사결재: 육아휴직/단축 승인·대체인력 채용·업무분담 지정.
  2. 고용24 접속(사업주) → 장려금 메뉴 → 유형별 신청 선택.
  3. 필수 증빙 업로드(근로계약·임금명세·4대보험 자격이력 등).
  4. 중간지급(50%) → 복귀 6개월 계속고용 확인 후 잔액(50%) 지급.

제출서류(유형 공통·예시)

핵심요약
  • 계속고용·임금지급·대체인력 채용 사실을 기록·증빙하는 서류가 핵심입니다.
구분예시 서류확인 포인트
사내결재육아휴직/근로시간단축 승인서, 업무분담 인사명령부여기간·대상·분담 범위
근로관계근로계약서, 임금명세서, 출근부/근태임금액, 근무시간, 지급사실
대체인력채용공고·근로계약·급여이체내역채용일·임금·업무범위
4대보험자격취득/상실 이력, 보험료 신고내역소속·기간 일치
기타사업자등록증, 통장사본, 위임장(대리)계좌·대표자 일치

유의사항·중복수급 체크

핵심요약
  • 중복수급: 육아휴직 지원금과 대체인력 지원금의 동시 수급 가능 여부는 유형·특례 적용에 따라 달라집니다(연도 지침 확인).
  • 지급한도: 대체인력 지원은 해당 월 실제 임금의 80%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.
  • 부지급 사유: 허위·중복계상·기간 불일치·서류 미비.

자주 묻는 질문(FAQ)

핵심요약
  • 핵심은 30일 이상 부여, 12개월 내 신청, 50%+50% 지급, 증빙 정합성입니다.

Q1. 대체인력 없는 ‘업무분담’만으로도 신청되나요?
A. 네, 내부 인력 분담만으로도 요건을 충족하면 업무분담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(연도 지침 확인).

Q2. 지급은 언제 완료되나요?
A. 사용기간 중 50%를 주기 지급하고, 근로자 복귀 후 6개월 계속 고용 확인 시 잔여 50%를 일괄 지급합니다.

Q3. 신청서식은 어디서 받나요?
A. 고용24 서식자료실의 [별지25/26] 파일을 내려받아 사용합니다(아래 버튼).

대체인력 인건비 지원 한도 계산기(설명용)

핵심요약
  • 대체인력 월 임금을 입력하면 월 지원 상한예상 총액을 가늠합니다.
  • 계산식 예시: min(월임금×80%, 1,200,000원) × 개월수. 실제 한도는 연도 지침·센터 심사 기준을 따릅니다.

공식 안내·신청 바로가기

핵심요약
  • 최신 금액·요건은 고용24 공식 안내문(PDF)생활법령·복지로에서 확인하세요.

메타 정보

핵심요약
  •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, 최종 기준은 해당 연도 고시·지침고용센터 심사입니다.

저자: 북마크오션 편집팀 | 최종 업데이트: 2025-10-24

위로 스크롤